별의별 이야기

Swap Bank 그리고 Transaction&Translation 본문

3./스타트업 재무회계 및 가치평가

Swap Bank 그리고 Transaction&Translation

Hailey Han 2024. 9. 22. 14:09
728x90

 

SWAP

  • 중소기업은 자금조달시 fixed rate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금리변동위험을 견딜 수 있는 대기업이 swap 시장에 참여하는 목적은 낮은 금리 이다.

중소기업 A는 자금을 고정금리로 빌릴 경우, 은행에 연 4.5%를 지급해야 한다. 변동금리부로 빌리면 Libor 금리에 1.5% spread만 지불하면 된다. 반면 대기업B는 고정금리로 연 1.0%에 빌릴 수 있고, 변동금리로는 Libor 금리에 빌릴 수 있다. 중소기업 A가 고정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고 싶어 SWAP bank에 갔더니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다. 

중소기업A: 변동금리(Libor)로 조달하고 대기업 B에게는 연 2.0%의 고정금리(fixed)를 지불하라
대기업B: 고정금리(fixed)로 조달하고 중소기업 A에게는 Libor 금리를 지불하라. 

중소기업의 자금도달비용과 swap을 통해 얻은 혜택:
+ Libor 1.5% 빌림 + fixed 2.0% 지불 - Lobor 받음
= 1.5% 와 fixes 2.0% = 3.5% 가 된다.
즉, 3.5%는 fixed 4.5%를 빌릴 때 보다 1%p save 된다. 

대기업의 자금조달비용과 swap을 통해 얻을 혜택: (??) 
+ fixed 1% 빌림 + Libor 지불 - fixed 2.0% 받음
= fixed -1% + Libor = total Libor -1% 가 된다. 
즉, 원래 Libor 빌리는 것 보다 1%p save 된다. 

  • hedge의 의미는 보유 position을 한마디로 neurtralize 하는 것. 받을 것이 있는 posiotion을  long posiotion  이라고 하며 지불해야 하는  position을 short posiotion 라고 한다

 

  • 현대차의 연간 수출금액은 50억달러 규모다. 해외영업비용은 연간 20억 달러이며 달러부채가 10억 달러정도다. 현대차의 currency exposure는?
    • 수출금액 (US$ 5,000mil), 해외 영업비용 ($ 2,000mil), 달러 부채 ($ 1,000mil) 일 때, currency exposure?
    • 50(long) - 20(short) - 10(short) = 20(Net long position) 

 

  • 또 환율이 달러당 1180원에서 1190원으로 변했을 때 현대차의 이익 변화는?
    • 달러당 10원의 상승 (1% 변했을 때), 순익 20억의 1% 즉, 2천만원 변동.
    • Net long position: $1.0백만 이익
    • Net Short position: $1.0백만 손실
    • 영향: 달러당 10원 하락

 

외환을 실제 환전하여 발생한 손익을  FX transaction  gain or loss 라고 한다. 한편 기말 평가(mtm)시 발생한 손익은  FX Translation   gain or loss 라고 한다. 

  • 기업 A는 주식 1백만주를 발행했다. 액면은 주당 5,000원인데 7,000원에 팔았다. 지금까지의 누적 순이익은 1,500 백만원(=15억원)인데 배당금으로 5억원을 지급했다. 한편 자산 가운데 토지 구입액이 장부상 1,000백만원인데 기말평가를 해 보니 1,500 백만원이었다. 단, 이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기업 A의 자기자본은 얼마인가? 4가지 항목별로 나타낼 것
자산 부채
자본

자본금 50억
자본잉여금 20억
이익잉여금 10억(-배당금 5억원)
자본조정 5억

= 자기자본  85억
  • 자본금 = (=액면가 = 주주가 출자한 돈) 주식 발행 1,000,000*액면가 5,000원 = 5,000,000,000(50억)
  • 자본잉여금 = 주식 발행 1,000,000*발행금 7,000원 = 7,000,000,000(70억) / 70억-50억 = 20억
  • 이익잉여금 = 10억(1,000백만원) / 누적순이익 15억-배당금 5억 = 10억
  • 자본조정 = 10억(1,000백만)  -> MTM(기말평가) -> 15억(1,500 백만원) 즉, 자본조정 5억(5000 백만원)
  • 자기자본 = 5,000백만원 +2,000백만원+1,000백만원+500백만원 = 8,500 백만원(85억)

 

  • Net working capital 이 많아질수록 cash(현금)이 감소한다. 

 

  • 한국의 많은 기업들은 성장이 끝났음에도 배당을 적게하고 기업에 잉여자금을 쌓아 놓고있다. 이 때 주주의 가치는 얼만큼 훼손되는가?
    • COE - 은행이자율

  • 자기자본의 네가지
    1. 자본금 : 주식수*액면가
    2. 자본잉여금: (주식수*판매가) - (주식수*액면가)
    3. 이익잉여금: 순이익 - 배당금
    4. 자본조정: 자산기말평가 금액 - 장부상 금액
  • swap bank: 
    • 중소기업(스타트업): 고정금리 > 변동금리, 안정성, low rate
    • 대기업: 어떻게하면 금리를 낮춰볼까. 감당가능(고정<변동)
    • swap bank가 최적점을 찾아주면서 조정 및 중개를 함 = 이자율 swap 시장(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 startup 이 지급이자 fixed 하면서 금융비용 save 가능 
  • Libor금리? 
    • 기준금리, 변동금리, spread가 붙음(1.5% or 0.5% 등)
  • (p.21) Transation and Translation: 
    • 모든 자산은 3, 6, 9, 12월에 MTM을 합니다. 
    • transation은 평가로 현금관계없고, transaction은 치고 받은 것 즉 현금 수입을 의미합니다. 
    • 장부가의 환율은 (1) 처음 살 때 (2) MtM을 할 때 총 2번 변동됩니다. 

  • significant influence
    • 주식의 20%이상을 갖고 있으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  MTM(Mark to Market)
    • 채권시가평가. 장부가가 아닌 현재 시장가치 반영을 위해 포폴 또는 계정 가치를 기록하는 fair value
    • MTM은 단기매매증권만 진행함. 나머진 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나머지는 싯가와 관계가 없다. 
    • trading securities를 손익에 반영한다. 이유는 단기로써 중요한 사실이기 때문(trading sec valuating gain/loss)
    • available for sale (AFS) 은 손익 반영하지 않는다 .이유는 단지 I/S 후 자본조종에 저장되기 때문. 
    • EMS는 손익에 반영한다. (EMS valuation gain), 시가평가는 안하되 성과평가에만 반영한다. 
  • 배당(단기매매와 매도가능 증권)
    • 배당을 통한 기업가치 감소(배당 rock)
    • 배당으로 cah가 debit으로 이동. 이 적은걸로 주가가 움직이진 않고, 
    • dividend income 계정에 더하고, R.E에 추가 할분 
    • 싯가로 그냥 판단
  • EMS
    • EMS의 경우, 돈이 들어오면 +20 중 -10 배당으로 빠짐. EMS의 경우 가치가 떨어짐. 
    • +20은 내가 받을 수 있는 전체 돈. 
    • -10은 배당락을 그대로 인식함. 
    • 장부가 그대로 판단한다. 배당(EMS)

  • 운전자본(working capital)?
    • 영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유동성 자산입니다. 
    • 운전자본이 늘어날수록 현금이 줄어든다.
    •  NWC = Inventory + (매출채권 - 매입채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