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2 한경
서울대 관악·연건 캠퍼스: 23만5420메가와트시(㎿h)
한전에 10MW 요청 -> 법적 계통영향평가 필수 -> 행정 절차만 5년 소요 -> 대학의 AI 인프라 생태계 감소..
연구소 곳곳이 '전기난민'. 그래픽처리장치(GPU) 대량 연구소 등장으로 공대 전력 부족 현상.
서울대는 2021년부터 요청, 성균관대는 AI 위탁장비 반납, 카이스트 냉난방 작동 기간 단축 등
엔비디아 GPU 확보: 미국 스탠퍼드대 300개, 고려대 2개, 서울대 0개, 마쏘 180만개, 예일대 450개
전력통계정보시스템(EPSIS)에 따르면 2023년 교육용 전력 단가는 ㎾h당 139원으로 2020년 104원 대비 3년 새 33.6% 급증
트럼프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용량 4배 늘릴게~"
미국의 원전 발전 용량은 작년 말 기준 96.7GW, 지난 10여년간 러시아 수입, 러시아-중국 설계 원자로 사용
1월 취임: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화석 연료 규제 완화를 추진
=> 과연 신규 원전 건설 붐이 이어질까?
한국 공장기계, 산업용 로봇 주문 급증: DN솔루션즈, HD현대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반면 한국 건설광산기계 - 12%, 농업용 기계 -6%
‘다크 팩토리’ : 무인·자동화 공장 -> 스마트 팩토리 형태 예를 들면 현재차의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트럼프(협상 전)
대중 관세는 80%가 적절할 것 같다. 스콧 B(베선트 장관)에게 달렸다.
트럼프 (협상 후)
오늘 스위스에서 중국과 매우 좋은 회의를 했다, 많은 사안이 논의됐고, 다수의 합의가 이뤄졌다, 전체적으로 우호적이면서도 건설적인 방식으로 협의가 이뤄졌다, 중국과 미국 양국 모두의 이익을 위해, 중국이 미국 기업에 더 개방되기를 바란다, 엄청난 진전이 있었다
인도와 파키스탄이 10일(현지시간) 휴전에 합의. "상대가 도발을 중단하면 우리도 중단하겠다"
트럼프: 이 위대한 국가들과의 교역을 크게 늘릴 것. 무수한 죽음과 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공격 행위를 멈출 때라는 것을 인식한 힘과 지혜, 용기를 보여준 인도와 파키스탄의 강인하고 확고한 리더십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파키스탄 총리: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과 지역 평화를 위한 적극적인 역할에 감사드린다
✅ 요약: 국세청이 글로벌 사모펀드(PEF)의 한국 내 소득에 과세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인 ‘이전 가격 과세’를 도입하려 한다.
1️⃣ 왜 과세하려는 건가요?
- 해외 PEF들은 한국에서 기업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얻고도 세금은 거의 안 내는 구조를 만들어왔어요.
- 국세청은 이제 이런 구조를 “정상적인 소득 이전이 아니다” 라고 보고 과세를 시도하려는 거예요.
2️⃣ 그동안 세금 못 걷었던 이유는 뭔가요?
- 핵심은 "고정사업장(Permanent Establishment) 인정 여부"예요.
- 한국에 PEF 사무소가 있더라도,
👉 중요한 결정은 외국 본사에서 했다고 주장하면, 그 사무소는 '예비적·보조적 역할'만 했다고 판단되어 세금 부과가 어려웠어요. - 예: KKR, 어피너티가 큰 돈 벌었지만 대법원에서 고정사업장이 아니라고 판단해서 과세 실패
3️⃣ 새로운 과세 방식: '이전 가격 과세'란?
- 이전 가격 과세란, **특수관계자 간 거래(예: 본사↔지사)**에서
👉 거래 가격이 정상적인 시장 가격인지를 비교해서
👉 싸게 처리된 경우, 세금 더 매기겠다는 의미예요. - 예를 들어: PEF 한국 사무소는 딜 전부를 주도했는데, 본사는 그냥 계약서에 사인만 했음에도 수익은 전부 본사가 챙김 → 이건 가격 왜곡이므로, 이전 가격 과세로 한국 소득으로 돌릴 수 있다는 것!
4️⃣ 이 방법이 더 쉬운 이유는?
- 고정사업장은 "실질적 의사결정이 있었냐"를 증명해야 해서 까다롭지만, 이전 가격 과세는 단지 👉 한국 사무소와 해외 본사가 특수관계라는 것만 입증하면 돼요.
- 특수관계란? 본사가 지분을 갖고 있거나, 사무소가 본사 없이는 운영 불가하면 사실상 종속관계
5️⃣ 그래서 앞으로 뭐가 달라지나요?
- 국세청이 한국 사무소의 역할과 수익 기여도를 바탕으로 👉 수익 배분을 다시 계산해서 과세할 수 있어요.
- 성과보수(carry) 같은 고수익도 👉 과거엔 해외로 바로 빠져나갔지만, 이제는 한국에서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어요.
과세 방식 | 고정사업장 여부 판단 | 이전 가격 비교 방식 도입 |
입증 기준 | 실질 의사결정 여부 필요 | 특수관계 여부만 증명 |
결과 | 과세 실패 사례 많음 | 과세 성공 가능성↑ |
영향 | 한국 내 수익 무과세 | 성과보수 등 과세 가능성↑ |
나프타: 원유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 롯데케미칼, LG화학, 한화솔루션 등 석화 기업은 나프타를 분해해 에틸렌, 프로필렌 등 기초 석화 제품을 제조한다. 모두 플라스틱 등을 만드는 데 쓰이는 원료.
개귀엽다. 항공사 납품도 멋지다
구글맵은 외국인이 대부분인데, 구글맵이 정밀 지도로 국내 지도 생태계 구축하면, 네이버나 T맵이나 카카오 등 견제 될 듯. 외국인 관광객도 증가추세니까 외국인 시장도 잡는게 좋겠다. 네이버 화이팅
🟡 ① 별이 블랙홀에 끌려가는 초기 단계
- 블랙홀 근처로 지나가던 별이, 블랙홀의 강한 중력장에 의해 궤도가 휘어지며 접근하게 돼요.
- 이때 별은 아직 완전한 파괴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엄청난 조석력(tidal force)**을 받기 시작해요.
🟠 ② ‘스파게티화(Spaghettification)’ 현상 발생
- 블랙홀에 가까워질수록 중력이 별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다르게 작용해요.
→ 이로 인해 별이 길게 늘어나며 파열되는데, 이걸 스파게티화라고 불러요. - 별은 더 이상 구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길게 찢겨나가며 블랙홀 주변에 띠 형태로 펼쳐져요.
🔴 ③ 별 물질 일부가 블랙홀에 흡수되기 직전의 모습
- 별의 잔해 중 일부는 블랙홀로 흡수되고, 일부는 주변을 회전하는 원반(disk)을 형성해요.
- 이 디스크는 '강착 원반(accretion disk)'이라 불리며, 엄청나게 뜨겁고 밝은 빛을 방출해요.
→ 여기까지도 인간이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 ④ 에너지 폭발!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 방출
- 잔해가 블랙홀에 완전히 빨려 들어가거나, 원반 상에서 서로 충돌하면서 👉 X선, 라디오파 등 다양한 파장의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 이 현상은 우주에서 가장 밝은 폭발 중 하나로, 심지어 수십억 광년 떨어진 거리에서도 감지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