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중급재무회계
CH5. Statement of Cash Flows 1
Hailey Han
2024. 9. 29. 22:31
728x90
1. CashFlow
현금 창출 능력, 시기 및 불확실성, 현금흐름 금액 필요
2. 현금흐름표
- no only 발생기준 재무제표 ↔️ 흑자도산 예측 어려움, 주관적 판단과 추정 개입됨.
- 발생기준 재무제표와 영업활동 순현금흐름의 일치정도가 높을 때, 이익의 질이 높다(quality of earning)
- 거래: 현금 유입, 유출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거나 또는 당기손이익을 변동시키는 거래이거나 아니거나.
- 현금 유입, 유출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거래는 현금흐름표에 나타난다. 당기손이익을 변동시키는 거래이거나 아닌 거래는 포괄손익계산서이다.
- 현금흐름표: 손익이든 비손익 거래든 관계없이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수반하는 거래.
- 현금의 유입과 유출의 나열만으로는 미래의 현금흐름 예측이 불가능하다. 즉, 영업, 투자, 재무활동에 따라 나뉨.
- 현금에는 보유현금, 요구불 예금 등이 포함된다.
3. 현금성자산(cash equivalent)
단기 현금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해야 한다.
4. 현금흐름 세가지
(1) 영업활동현금흐름
-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하는 계약에서 발생하는 현금유입은 현금유입(재고자산)으로 구분한다. ↔️ 금융자산
(2) 투자활동흐름
- 외화매출채권 등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고자 계약한 파생상품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은 (1)영업활동으로 구분한다.
- 외화투자자산, 외화차입금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고자 계약한 파생상품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은 (2)투자활동 (3)재무활동으로 구분한다.
- 연구개발비는 (1)영업활동으로 인식하지만, 무형자산 인식 조건을 충족하는 연구단계의 지출은 (2) 투자활동으로 인식한다.
- 이자는 (1)영업활동, (3)재무활동으로 인식하지만 이자지급액이 높아 자본화학금액(자본화차입원가)는 (2)투자활동으로 인식한다. 그 이유는 자산취득에 소요된 지출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3) 재무활동현금흐름
- 재무활동을 통해 주식을 취득하는 것은 자기주식의 취득을 의미한다.
- 충당부채란 영업과정에서 인식한 부채이니 (1)영업활동으로 인식한다.
주의 - 이자, 배당금의 수취 및 지급
- 이자는 영업, 투자, 재무 셋으로 모두 나뉜다.
- 금융회사의 경우, 이자 지급/수취, 배당수취는 (1) 영업활동으로 인식한다. 하지만 다른 업종은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IFRS에서는 정확히 규정하지 않았다.
- 대방은 (3)재무활동으로 인식한다. 재무자원획득비용이기 때문이다.
주의 - 법인세
- 유형자산 처분으로 인한 현금유입은 (2)투자활동으로 인식하고, 유형자산 처분이익에 대한 법인세 유출액은 (2)투자활동으로 인식한다.
- 사채상환으로 인한 현금유출은 (3) 재무활동으로 인식하고, 사채상환이익에 대한 법인세 유출은 (3)재무활동으로 인식한다.
- 하지만 거래 식별에 어려운 경우가 많아 그럴 때는 (1) 영업활동으로 인식한다.
주의 - 추가고려사항
- 투자목적의 지분매매로 인한 현금흐름의 경우 금융회사는 (1)영업이익으로 인식하고 제조회사는 (2)투자활동으로 인식한다.
- 정부보조금의 경우 (2)투자활동으로 인식한다. 여기의 경우 연구 장비 취득에 해당한다. 하지만 비용보전을 위한 정부보조금은 (1)영업활동으로 인식한다.
- 분식 재무제표: 연구배발비가 (1)영업활동의 현금유출의 경우, 무형자산(개발비)로 빼면 (2)투자활동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5. CashFlow 작성
- 이해하기: 영업활동이익이 증가(감소)한 만큼, 현금유입(유출)이 없으므로 영업활동현금 계산시, 영업활동이익에 영업자산(부채)의 증가를 가산한다.
1. 발생기준 금액을 현금기준 금액으로 변환
2. 직접법: 영업활동 세부 항목별 현금유입과 유출을 구분하는 방법
3. 간접법: 영업활동 세부 항목별로 구분하지 않고, 발생기준 손익에서 영업자산/부채 변동을 한꺼번에 조정해 도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