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별 이야기

[Autodesk Fusion 360] #6 렌더링_시각화(색상, 재질) 본문

2./Autodesk Fusion 360

[Autodesk Fusion 360] #6 렌더링_시각화(색상, 재질)

Hailey Han 2024. 1. 4. 23:28
728x90

1. [렌더링]을 누르면 재질이 바뀝니다. 기본은 steel 입니다. 

뷰큐브, 검색기는 그대로지만, 작업 공간이 바뀌면서 작업 명령과 타임라인이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설정]-[색상]

본체(구성요소) 전체 또는 면 하나하나를 다르게 구성요소를 다르게 할 건가 설정할 수 있습니다. 드래그를 통해 각각 재질을 입힐 수 있습니다. 

3. 이런식으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근데 만약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다면, 저 빨간 동그라미가 최신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확인을 해줘야 합니다. 이렇게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해줘야 합니다. 

4. 일부 면이나 본체를 누르면 각각 적용이 가능합니다.

루피는 분홍색이죠? 만약 원하는 색이 없다면 더블클릭을 통해 색상을 추가해서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5. 얼추 루피와  비슷해졌습니다. 

6. 반사되는 정도, 그림자 등 방향을 지정해줍니다.

제가 원하는 각도를 [사용자 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각도를 새로 지정해서 [얼짱각도]로 이름을 변경하겠습니다. 

7. 장면설정 [설정]-[장면설정]

환경 

강도: 밝기를 의미합니다. 바를 이용해 조정하거나 값을 입력합니다. 중요한 것은 배경에는 영향이 없고 객체에만 영향을 줍니다. 

배경: [단색]과 [환경] 두가지가 있습니다. [단색]은 밑의 색을 통해서 색상표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중요한 것은 미리보기가 보이지 않아 [적용]을 눌러야 가능합니다. 

고정

[지면 평면화]은 지면에 떠있는 느낌이 들고, 반사를 볼 수 없습니다. [반사]에 대한 거칠기도 조정할 수 있습빈다. 

카메라

카메라로 찍는 효과를 줍니다. 원근감이 적용 됩니다.

[초점거리]는 망원렌즈를 의미합니다. 거리에 따라 왜곡 정도가 달라집니다. 인간의 눈과 가장 흡사한 거리는 120이라고 합니다. 기본값은 90입니다.

[필드 깊이]: 렌즈 영역이 만들어지고 그 외는 블러처리가 되는 효과입니다.   [광선추적]은 실시간 렌더링 시에만 확인되고 미리보기는 지원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확인을 하고 싶으면 [캔버스 내 랜더링]을 누르면 실시간 렌더링이 되는데, pc내 cpu를 사용하기에 팬이 돌아가고 렉이 걸릴 수 있습니다. 한번 플레이를 누르면 정지시까지 재생되기 때문에 [정지]를 눌러야 합니다. 이때는 절대 뷰를 조정하면 안됩니다. 바꾸면 처음부터 실시간 렌더링이 다시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종횡비]: [뷰포트 종횡비]로 설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사진 편집때처럼 모니터, ppt 사이즈등으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8. 만약 장면설정이 [배경]-[환경]이라면?

환경 라이브러리를 보면 선명한 강조표시(스튜디오)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밑에 라이브러리에서 바탕화면에 드래그 드롭하면 됩니다.

만약 [단색]인 경우에는 배경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환경]으로 설정해야 다양한 배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9.허공에 떠 있는 느낌을 주기 싫으면 이때, [지면 평면화]를 하면 됩니다. 

지면평면화가 되어있어 도로 위에 있는 루피가 생성됩니다. 

10. 우리가 원하는 이미지를 넣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 사진이나 넣을 수 없고, HDRI 이미지만 가능합니다. 뒤에 하늘, 풍경, 바닥이 있어야 합니다. 원형바닥에 하늘이 있는 360도 돔형 이미지를 의미합니다. 이 이미지만 렌더링 시 배경이 가능합니다. 

이 사이트에 접속하면 됩니다. 로그인 없이 이용 가능합니다.

11. 원하는 화질을 설정해 무료로 저장이 가능합니다. 

12. fusion 360에 적용하기 

[장면설정]-[환경 라이브러리]-[사용자 환경 부착] 을 통해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용량에 따라 업로드 시간이 다릅니다. 

빛에 따라 위치도 바꿔주면 루피가 그럴듯해집니다. 밝기에 맞게 물체의 밝기나 그림자도 수정해주면 좋습니다. 

13. 실제 이미지로 바꿔봅니다.  [렌더]를 클릭합니다. 메뉴 바 맨 오른쪽의 주전자모양입니다.

웹, 모바일, 인쇄, 비디오, 사용자 지정 등 다양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사용자 지정]으로 하겠습니다. 

[사용할 렌더러]

클라우드 렌더러: 라이센스를 공유한 사람들끼리. 교육 라이센스 사람들은 무료 이용가능. 오토 데스크 서버로 보내서 렌덜이 하는 것

로컬 렌더러: 개인 컴퓨터를 통해 렌더링 합니다. 시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저희는 [클라우드 렌더러] - [최종] 으로 설정하겠습니다. 

[클라우드 크레딧]

품질이 우수하거나 그러면 크레딧이 증가합니다. 한번에 최대 용량은 16이고, 제가 갖고 있는 렌더는 무제한이라고 나와있습니다. 

[렌더 대기 시간] 은 20분 걸린다고 나와있습니다. 이것보다 더/덜 걸릴 수 있습니다. 

14. 아래 타임라인에 렌더링 갤러리가 생긴 모습을 확인합니다. 

15. 렌더링 완료

10분정도 지난 것 같습니다. 완성했는데 종횡비를 잘 못 설정한 걸까요.. 그냥 귀엽네요. 

아무튼 귀여운 루피 위에 버튼을 통해 이미지 파일로 저장이 가능하고, 수정 후 재랜더링도 가능합니다. 이땐 시간이 아까와 똑같이 실행된다는 점 알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