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ay13
- 대한민국산업지도
- 12월 수출입지수
- 강의안 11
- 회사의 의의
- 자람테크놀로지
- 마른뼈골짜기
- 주가분석
- 명의개서
- spss
- 생성형AI
- road to fund manager
- 12월 외환보유액
- 투자은행의눈으로보라
- PYTHON
- Fusion 360
- 케어젠
- 기업법
- 이타가키에이켄
- 3D모델링
- nopat
- 주담통
- Autodesk
- 손정의 제곱법칙
- 파일입출력
- for문의 활요
- 손짧수길
- 연혁정리
- 요네자와 호노부
- math module
- Today
- Total
별의별 이야기
2024 9월 분기보고서 본문
어제(11.14) 9월 분기 보고서가 나왔음.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4000160
2024.11.14 10:05:56 기업명: 자람테크놀로지(시가총액: 1,667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56억(예상치 : 0억) 영업익 : 5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0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56억/ 5억/ 0억 2024.2Q 53억/ 4억/ 4억 2024.1Q 60억/ 6억/ 13억 2023.4Q 51억/ 2억/ -1억 2023.3Q 29억/ -7억/ -4억 |
![]() |
매출실적 (단위: 백만원)
XGSPON칩 및 관련제품 항목
2023 4Q 25.53 억 / 2024 3Q 104.21억
+ 78.68억 (+308%)
과거 맺은 진행 프로젝트들이 드디어 24년도에 용역 매출로 반영된 것으로 보임.
심지어 전량 수출 아직 내수 무대는 없는 것 같다
<2023 이슈>
7월 H사의 미국향 제품에 XGSPON칩 공급계약 체결(3년, 200억원 규모) -> 미국 통신사(버라이즌)으로 수출 |
7월 중국 하이센스 브로드밴드사와 20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
미국 vz향 40Gbps NPGON2 ONU 스틱 개발(글로벌 H사 협력) |
7월 31일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20억) |
9월 XGSPON) AT&T RFP 접수 예정 |
10월 5일) 에이디테크놀로지와 XGSPON 개발계약,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공정을 통해 내년 하반기까지 시세품 25년 본격 양산계획 |
10월 5일) 글로벌 통신반도체 업체와 165억원 규모에 이르는 XGSPON 주문형 반도체(ASIC) 설계 및 공급계약(계약기간 25년 2월 3일까지) |
<2024 이슈>
25G Chip 개발 매출 기대 |
5월 29일 정부 국책과제 '모빌리티용 네트워크 프로세서 시스템온칩 주관기관 선정. (26.12.31까지 차량용 고속 이더넷 스위치 개발) |
7월 30일) CB(전환사채), EB(교환사채) 발행 결정 (사유: 신사업 추진을 위해 M&A, R&D에 사용) |
9월 30일) 2회 사모 교환사채 조정에 의해 자사주 1억 8447만원 규모 처분. (처분 주식 4939주) |
10월 23일) 반도체의 날 '국무총리 표창' 수상 |
10월 31일 8,000만원 자사주 처분(사유: 교환가액 조정에 의한 추가 처분) |
주요 매출처 현황
S사
P사(Phillips?)
A사(AT&T?)
C사
E사(Ericsson?)
주요 매출처.. 매출항목을 모르니까 추정하기가 어려움. 자료를 찾아보고싶은데 잘 모르겠음.
근데 A사의 매출비중이 61%이고, C사의 매출 비중은 거의 139% 감소. 계약이 끝난건가?
XGSPON STICK을 상용화 했다는 라쿠텐이나 XGSPON 고객사 라쿠텐에 대한 매출은 주요 매출에도 없는 걸로보니 굉장히 적은 것 같다.
수주내용을 더 찾아봐야 할 듯!
작년 (누적) 4분기 대비 +1,042억 ( yoy 3Q +160% )
2023년 적자 탈출하고 22년도 처럼 회복하는구나
수주현황
작년에 엄청 많았던 수주 물량을 해소했나보다.
광트랜시버, XGSPON SFP+ ONU 잘팔렸는데?
기가와이어의 경우에는 매출이 오히려 줄었고, 수주 잔고도 증가했다. 계약은 되어있는데 내부 이슈가 있는건지?
DVT, SOC는 매출과 수주잔고가 함께 올라가고 있음.
광트랜시버의 경우매출액과 수주잔고가 함께 하락함.
XGSPON SFP+ ONU의 경우도 마찬가지..
주요 제품 매출 현황
yoy 4Q +1,042억 ( yoy 3Q +160% )
XGSPON은 23년도부터 매출이 나오고있는 상황인데 , 동사의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용역매출비중이 yoy 4Q 60.13%로 눈에 띄게 상승해서 제품 매출액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었다. 근데 2023년도 매출이랑 비교해보면 39.7% 상승.
매출 총계도 보면, 2023년은 3Q누적 64.79억원에서, 4Q누적 116.23억원으로 오른거보면, 23년도 말부터 XGSPON 관련 용역매출이 생겼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와 여기 비유동자산 셀병합 안했다 ㅎ 아무튼
유동자산
2023년 말 유동자산: 1,846억 원
2024년 3분기 말 유동자산: 5,826억 원
-> 3,980억 원 ( + 215.6% )
비유동자산
2023년 말 비유동자산: 246억 원
2024년 3분기 말 비유동자산: 354억 원
-> 108억 원 (+ 44.0% )
단기금융상품을 통해서 운영 자금을 확보, 계약에서 발생한 자산을 보유 함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도가 상승했음 : 수주 및 계약 규모가 커져서 그런걸수도 있구나?
환위험
2024 (누적) 3Q 외화 자산 USD 7,309,822 (원화 환산금액은 약 9,646억 원)
2023년 4Q 대비, 4,783억 원 (+ 147%) 증가
매출채권 및 기타 채권이 눈에 띄게 증가 함. 수출이 많아져서 미수금이 많아진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포괄손익계산서
제 25 기 3분기 2024.01.01 부터 2024.09.30 까지
제 24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 매출 + 160.8%
-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 1조 6,898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 6,479억 원
- 매출원가 + 139.1%
-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원가: 1조 1,408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원가: 4,770억 원
- 매출총이익 + 221.3%
-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총이익: 5,489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총이익: 1,708억 원
- 판관비는 전년 대비 거의 변동이 없음
- 2024년 3분기 누적 판매비와관리비: 4,012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판매비와관리비: 4,022억 원
- 오 고정비 관리 잘한다~
- 영업이익 + 2,202억 원 (흑자로 전환)
- 2024년 3분기 누적 영업이익: 1,477억 원
- 2023년 3분기 누적 영업손실: -725억 원
- 금융수익, 금융비용 증가
- 금융수익: 1,399억 원 (2024년 3분기 누적), 560억 원 (2023년 3분기 누적)
- 금융비용: 873억 원 (2024년 3분기 누적), 73억 원 (2023년 3분기 누적)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과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 성공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987억 원 (2024년 3분기 누적), -1,798억 원 (2023년 3분기 누적)
- 당기순이익: 1,690억 원 (2024년 3분기 누적), -1,125억 원 (2023년 3분기 누적)
'4. > 자람테크놀로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람테크놀로지 IR (0) | 2025.03.19 |
---|---|
자람테크놀로지와 NPU (2)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