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별 이야기

[Case Study] 데이터 자산화를 위한 학술연구 본문

2./2024 HCI 학술대회

[Case Study] 데이터 자산화를 위한 학술연구

Hailey Han 2024. 2. 15. 20:18
728x90

☀️데이터 자산화를 위한 생체신호 데이터의 디지털 전환(DX) 구축 사례

🙆🏻‍♀️ 장성원(뉴워트)

🏢 240125, 14:40-15:30, 소노캄 3F 에메랄드홀


 

  • 데이터가 기존 생체신호 데이터 활용에서 자산화의 가치를 느끼지 못한 것 같다. ‘디지털 자산화’를 통해 기획적인 부분 발표.
  • 천연가스 자원은 데이터와 유사하다.
  • 에디슨 당시에도 천연가스의 존재를 알았지만 파이프 라인이 필요한 등 활용이 어려워서 전기를 사용했다.
  • 생체신호는 사람에게서 오는 데이터다. → 인적요소 35초 딜레이 법칙
  • 생체신호 데이터 인적요소: 개인간, 개인 내 차이
    • 개개인 건강상태, 신체상태, 감성, 체질이 다르다.
    • 대용량의 데이터로 취급되는 생체신호. 인프라가 필요하고 관련 전공자가 아니면 접근하기 어렵다.
    • 노이즈와 간섭: 가장 중요한 모션을 정제하고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
  • 연구기관 데이터(생체신호) 관리의 어려움
    • 버전 관리와 추적이 어려움: 그 데이터를 활용하기가 어려워짐..
    • 대용량 데이터: 라벨링이 되어있지 않으면 어렵다. 가공데이터는 거의 사용할 수 없다.
    • 다양한 데이터 소스 다양한 샘플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고있다.
  • 생체 측정 장비 서비스: SDK, sw제공, As
  • 데이터를 분석하고 검증하는 서비스
    • 생채 측정 → 데이터 검증 → 검증/분석 결과
    • 비전: 누구도 편하게 사용함.
  • 데이터 거래 프로세스 개념: 제공자-사용자 연결,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