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12월 수출입지수
- 3D모델링
- day13
- 투자은행의눈으로보라
- 12월 외환보유액
- nopat
- Autodesk
- math module
- Fusion 360
- 자람테크놀로지
- 생성형AI
- 주가분석
- 연혁정리
- for문의 활요
- 이타가키에이켄
- PYTHON
- 강의안 11
- 마른뼈골짜기
- road to fund manager
- 대한민국산업지도
- 기업법
- 파일입출력
- 주담통
- 요네자와 호노부
- 손정의 제곱법칙
- 회사의 의의
- 명의개서
- 케어젠
- 손짧수길
- spss
Archives
- Today
- Total
별의별 이야기
7/9 한국경제 본문
728x90
1. 관세 25%
- 자동차·자동차부품(25%), 철강·알루미늄(50%)
- 자동차: 올 상반기 미국 자동차 수출액(153억4000만달러)은 작년보다 16.8% 급감
- S&P글로벌모빌리티는 올 하반기 미국 자동차 시장 규모를 전년보다 10.8% 감소한 726만 대 수준으로 전망. 미국 자동차 시장: 상반기는 수입차 가격 상승을 고려한 패닉 바잉, 하반기는 감소할 것.
- 철강: 지난달 대미 철강 수출액이 전년보다 16.3% 감소한 가운데 수출 단가도 9.4% 하락
- 상호관세
- 90일간 유예한 상호관세 발효 시점(7월 9일)을 8월 1일로 다시 미룸
- ‘TACO(Trump Always Chickens Out·트럼프는 항상 겁을 먹고 도망간다)’
- 그러나 그러나 이번에 14개국에 관세율을 적은 서한을 보내면서 실제 관세 부과 시점은 8월 1일로 정했다.
- 가장 큰 타격은 ‘석유화학제품, 배터리, 냉장고, 변압기 ‘
- 8일 한국무역협회와 산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25% 상호관세 부과 예고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업종은 석유화학제품과 배터리, 냉장고, 변압기 등으로 파악.
- 가전: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미국 가전 생산을 최대치로 늘리기로 했음. 지난해 미국에 수출한 한국산 냉장고는 18억5997만달러(약 2조5000억원)어치.
- 배터리: 가격인상&현지생산 확대 - 지난해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휴대폰용 배터리 수출 금액은 29억9392만달러(약 4조1000억원). 미국 내 공장을 보유한 회사가 한 곳도 없음.
- 변압기: 변압기 3사(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중 미국에 변압기 공장을 둔 회사는 HD현대일렉트릭과 효성중공업. 지난해 변압기 분야 수출액은 18억달러(약 2조5000억원).
- 석유제품: 미국 3위 수출 업종.(51억달러·약 7조원). 의류와 페트병 등에 쓰이는 벤젠과 자일렌, 톨루엔 등을 주로 수출 → 미국 내 기업 없음.
2. 삼성전자 어닝 쇼크
- 삼성전자는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25%나 밑돈 ‘어닝쇼크’
- 메모리사업부(D램, 낸드플래시)
-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12단 제품의 엔비디아 납품 지연
- 영업이익이 예상(4조원)보다 적은 3조원 안팎.
- 1조원대 재고충당금(재고자산 가치가 하락할 때 회계에 반영하는 금액)
- 미국이 1월 중국 수출 규제 이뤄지면서 중국향으로 가야 할 삼전 HBM들이 삼성 공장에 발목으로 묶임.
- 파운드리사업부
- 영업적자. 대형 고객사 확보 실패.
- 시스템LSI사업부
- 영업적자
- 모바일경험(MX)사업부
- 갤럭시S25 엣지 판매 호조로 올 2분기 3조원 수준의 영업이익
- 1분기(4조3000억원)보다 부진했지만 2분기가 스마트폰 비수기란 점에서 ‘선방했다’는 평가
-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는 1분기(5000억원)에 이어 2분기에도 4000억~5000억원의 영업이익
- 전망
- fnguide에 따르면, HBM3E 12단 제품의 엔비디아 및 브로드컴 납품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고, 범용 메모리 가격도 상승하는 추세로 전망 좋음.
3. 삼전 올해 3번째 M&A
- 미국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젤스
- 서로 다른 전자건강기록(EHR)을 하나의 플랫폼(앱)으로 통합하는 업체
- 미국 주요 대형 병원을 포함한 500여 개 병원과 70여 개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기업을 파트너사로 확보
- 2017년 미국 대형 병원 그룹인 프로비던스헬스시스템에서 분사했다. 인수 전까지 15개 의료기관에서 5360만달러(약 733억원) 규모 투자금 유치
- 갤럭시 스마트폰, 워치, 링 등 웨어러블 기기에서 수집한 생체 데이터를 전문 의료진과 연결하는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 이번 인수는 지난 5월 미국 마시모 오디오사업부(인수금액 약 5000억원)와 독일 냉난방공조업체 플렉트(약 2조4000억원)에 이은 세 번째 M&A다. 삼성은 지난해에도 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인공지능(옥스퍼드시맨틱테크놀로지스), 헬스케어(소니오) 분야 기업을 인수
4. 삼전 자사수 매입
- 보통주 5688만8092주(약 3조5100억원어치)와 우선주 783만4553주(약 4019억원어치)를 장내 매수할 계획 = 총 3조9119억원어치
- 매입 기간은 9일부터 오는 10월 8일까지. 작년 11월 내놓은 10조원 규모 자사주 분할 매입 계획 중 마지막 단계
5. 1회 방위산업의날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HD현대중공업,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방산 기업 최고경영자(CEO) 100여 명을 비롯해 정부와 공공기관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여
- 이를 위해선 AI나 무인로봇 같은 경쟁력 있는 무기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 세계 최대 방산 시장인 미국 정부와 무기 및 유지·보수·운영(MRO) 수주 등 방산 협력을 늘려야 한다는 제언
'1. > 매크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2 한경 (1) | 2025.05.12 |
---|---|
5.9 한국경제 (0) | 2025.05.09 |
5.7 한국경제 (0) | 2025.05.07 |
4월 23일 한국경제 (0) | 2025.04.23 |
안두릴: 미국 방산의 메기 (0) | 2025.02.18 |